[SPACE]세마당집

posted Feb 16,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설계 임영환(홍익대학교) 설계담당 김영천, 허지선, 이수찬(디림건축사사무소) 대지위치 경기도 인시 기흥덕동 용도 단독주지면적 736m2 건축면적 367.88m2 연면적 659.72m2 규모 지상 312.29m 5건폐율 49.98% 용적률 89.64%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목구조 외부마감 콘크리트벽돌, 조석뜯, 인산염패널, 골강판, 47mm 로이 삼복층유부마감 석고보드 도장, 목구조 노출, 원목마루 구조설계 ()모산이엔씨 시공 ()이안알앤씨 기계설계 ()성이엔지 전기설전기 설계기간 2017. 4.~ 9. 시공기간 2017. 11. ~ 2018. 9


.

PROJECT 

THREE YARD HOUSE 

세마당집2.JPG

 

세마당집4.JPG

 

웃한 자연높이가 같은 판을 만들고 거실,, 식당,, 서재작업실 함께 쓰는 실과 할머니 방을 배치했다. The widest space was positioned on the sunny side, at eye-level to the natural landscape, and grandmother's room, shared rooms such as a living room, dining room, study room, and work room were introduced

 

세마당집3.JPG

 

1중앙의 대문을 열면 제일 먼저 지붕이 있는 사이마당과 주하게 된다. When one enters the main gate on the first floor, one will first encounter the covered yard in between

 

세마당집5.JPG

 

가장 동쪽에 있는 할머니  방에서 나와 집의 반대편 끝을 바라보면 개의 거실을 관통한 시선이 마당과 서재넘어 서쪽 동산의 숲으이어진다. When one looks at the other end of the house, after emerging from the grandmother's room located on the eastern most side, the gaze penetrates the two living rooms beyond the yard and the study, leading to the forest on the western hill

 

PROJECT 

THREE YARD HOUSE 

개의 유연한 

마당 

임영환 홍익대학교 교수 

3+3+3

3+3+3

이 집은 세 개의 마당을 가진 3세대를 위한 3층 집이다. 대지는 나무가 우거진 작은 동산의 줄기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동산은 여러 모로 이 집에 많은 혜택을 준다. 사계절의 변화를 보여주고, 서쪽의 불편한 햇빛을 가려주고, 대지의 경계와 연결되어 집의 정원을 동산의 둔덕으로 계속 이어준다. 그래서 이 작은 동산은 집의 배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동산의 자연스런 흐름을 집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집을 대지의 모양에 맞추고 동산으로 향하는 축과 평행하게 앉혔다. 그리고 길게 늘어선 공간들을 엮는 시선의 끝은 항상 동산을 향하게 했다. 여러 개로 나뉜 공간들이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넘어 중첩되지만 서로 시야의 걸림돌은 되지 않는다. 마치 프리즘처럼 공기와 재료에 의해 시선이 굴절되면서 깊이가 다른 공간의 위계를 만든다.

이 집에 있는 마당 세 개의 의미는 상당히 유연하다. 대문 안 화강석 마당, 게스트룸 앞 마사토 마당, 식당 앞 잔디마당이 있다. 이는 또한 아이를 위한 흙마당, 어른을 위한 풀마당, 안주인을 위한 텃밭마당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1층 마당, 2층 마당, 3층 마당으로 단순하게 규정되기도 한다. 필요에 따라 마당이 되기도, 정원이 되기도, 그냥 통로로 남기도 한다. 집은 결국 사용자에 의해 완성되는 생물이기 때문에 건축가의 의도 역시 다분히 유동적이다.

 

아래로 포개기

설계를 시작할 때마다 대지의 형상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건축은 늘 단순하길 바라지만 대지가 단순하면 생각마저 단순해진다. 다행히 이 집이 들어설 대지는 복잡했다. 작은 동산의 끝자락에 동서로 길게 구획되어 모양도 특이하고 경사는 꽤 급하다. 이러한 상황은 복잡한 건축주의 요구와 조건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관계를 쉽게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볕이 잘 들고 이웃한 자연과 눈높이가 같은 곳에 가장 넓은 판을 만들고 거실, 식당, 서재와 작업실 등 함께 쓰는 실과 할머니 방을 배치했다.

동서 방향으로 긴 대지의 모양 덕분에 집의 모든 실은 따뜻한 남향 빛을 받는다. 동산에서부터 시작된 경사는 대지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의 큰 단을 만들고 수직적으로 세대를 구분할 수 있게 돕는다. 경사진 곳에 주차장, 창고, 세탁실 등을 깊숙이 묻고 아래로 포개기 전략을 구사한다. 땅 위에 얹힌 건축이 아니라 땅 아래로 포개진 건축. 그렇다고 땅을 파헤친 것은 아니다. 적당히 묻히고 적당히 드러나면서 건축의 폭력적인 성향은 다소 누그러진다. 배가 물 위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얼마쯤 물속에 잠겨 있어야 되는 것처럼 건축 역시 땅과 어느 정도는 관계를 맺고 있어야 자연스럽다.

건축과 땅의 관계는 한쪽이 우세해서는 안 되며 서로 양보하는 겸손한 자세로 만나야 비로소 시작된다고 믿는다. 건축물이 들어서기 이전과 이후의 관계는 산술적 합의 결과인 중첩이 아니라 건축과 자연의 유기적인 결합의 관계여야 한다. 위로 포개지는 것이 아니라 아래로 포개지는 것.

 

깊이의 척도

1층 중앙의 대문을 열면 제일 먼저 지붕이 있는 사이마당과 마주하게 된다. 집의 이미지를 처음 체험하는 이곳은 어스름하다. 전면에 벽이 서 있어 측면에서 들어오는 비스듬한 햇살만으로 공간을 밝히기 때문이다. 방문객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입구를 찾게 되고 양옆으로 두 개의 현관을 보게 된다. 오른쪽 현관은 2세대 부부가 사용하는 전용 출입구다. 주차장과 연결되어 2층의 서재와 작업실, 3층의 침실 공간으로 이어진다. 부부가 아니면 굳이 사용하지 않는 문이며, 밖에서 안으로 열리는 문이 아니라 안에서 밖으로 열리는 문이다. 편리함만을 고려한다면 만들 필요가 없는 문이지만 집주인을 위한 특별한 문이다. 이 집의 주출입구인 왼쪽의 현관은 게스트룸과 2층으로 가는 계단으로 연결된다. 게스트룸은 분가한 자식세대 가족이 주로 사용하는 곳으로 아이들을 위한 작은 공간들이 숨겨져 있다. 모든 방은 툇마루를 사이에 두고 남쪽 마당으로 연결되며 아이들은 마당과 방을 놀이터처럼 사용할 수 있다.

1층은 마당을 중심으로 둘로 나뉘어져 있지만 2층은 넓은 플랫폼을 형성하며 집 전체를 하나의 순환 동선으로 엮는다. 주출입구 계단을 통해 2층으로 올라가면 양옆으로 두 개의 거실이 있다. 하나는 할머니가 하루 종일 일과를 보낼 거실이며 다른 하나는 대가족을 위한 공용 거실이다. 식당과 인접한 공용 거실을 건물의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 공간으로 계획한 의도가 있지만 그것보다 이 집의 가장 길고 큰 공간의 깊이를 체험하는 척도로 사용되길 바랐다. 가장 서쪽에 배치된 서재는 동산의 작은 숲을 정원처럼 누릴 수 있으며 마당을 둘로 나누어 쓰임새를 더했다.

 

THREE YARD HOUSE

가장 동쪽에 있는 할머니 방에서 나와 집의 반대편 끝을 바라보면 두 개의 거실을 관통한 시선이 마당과 서재를 넘어 서쪽 동산의 숲으로 이어진다. 계획 초기부터 상상했던 가장 인상적이고 풍부한 조망과 공간적 경험이 가능한 선이다. 하나의 공간처럼 연결되어 있지만 외부 공간의 관입을 통해 내부와 외부의 경계는 흐려진다. 신발을 신지 않은 일상의 공간에서 체험할 수 있는, 이 집에서 가장 크고 긴 공간이다. 공간의 깊이는 결국 우리의 몸과 주변과의 관계로 규정된다. 길이는 절대적이지만 척도는 상대적이기 때문에 이 거실은 크게도 길게도 느껴지지 않는다.

 

화려하지도 소박하지도 않은

건축주가 요구한 수많은 조건들 중에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이 이 집이 화려하거나 과장되게 보이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말이었다. 가족구성원이 많아 집안행사를 무리 없이 치를 수 있는 규모로 계획되었지만 크기나 모양이 주변과 조화로운 집이 되길 바랐다.

건물은 주로 인조석뜯기와 가로로 긴 옅은 회색의 콘크리트벽돌로 마감되어 있다. 중간중간 인산염패널이 돌과 벽돌을 연결하기도 분리하기도 하며 입면의 빈 곳을 채운다. 도로에서 자칫 장벽으로 보일 수도 있는 긴 벽면은 다른 질감을 가진 유사한 빛깔의 재료로 분절되어 스케일을 모호하게 만든다. 이웃들의 시선도 건물에 고정시키지 않는다. 실내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위에 얹힌 목구조가 천장에 그대로 노출되면서 창을 통해 외부로 드러난다. 결과적으로 건물은 전체적으로 옅은 회색톤이지만 따뜻한 목재와 은은한 조명 덕분에 어둡지도 그렇다고 밝지도 않다. 집은 건축주의 바람대로 화려하지도 그렇다고 소박하지도 않다.

화려하고 강렬하고 극적인 건축은 꽤 유혹적이지만 결과적으로 건축이 가진 폭력성을 더욱 강화시킨다. 또한 의도된 결과를 만들기 위해 건축가의 사고 역시 작위적으로 된다. 화려함 대신에 세련되고, 강렬함 대신에 인상적이고, 극적인 연출 대신에 풍부한 공간을 품은 건물로 이 집이 지속되길 바란다.​ 


세마당집6.JPG

 


082 

PROJECT 

THREE YARD HOUSE 

as a central space, the shared living room 

Three Flexible Yards adjacent to the dining room was positioned at the centre of the building, but more than that 

it was intended for use as a measure of the Lim Yeonghwan professor, Hongik University 

 

임영환은 홍익대학교와 펜실베니아대학교에서 건축전공하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 서울필라델피아에서 활동하다가 2006년부터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7년 파트너 김선현과 디림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한 이후  건축가협회상, 한국건축문화대상,, 서울건축, 경기도건축상, 은건축가, 김수근건축프리뷰상 다수의 건축상을 수상했다. 2015에는 영국 런던의 뱅크 갤러리에서 전시된 한국건축전에 참여하였. 대표작으로는 중근기념관, CJ나인브릿지더포럼, 스타덤엔터테인먼트사, 쉬즈메디병원, 네이버어린이집 등이 있다

Lim Yeonghwan received his bachelor's degree from Hong-lk University. a master's degree from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a Ph.D degree in architectur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at Hongik University while also serving as a partner of D-LIM Architects. He has received twelve architectural awards, such as the Seoul Architectural Awards, the Korean Architectural Awards, the 'Best 7' Award from KIA, and the Young Architect Award. He participated the Korean architecture exhibition in London 2015. His works include the Ahn Jung-geun Memorial, CJ Nine bridges The Forum, Stardom Entertainment Office, Shesmedi Hospital, and Naver Nursery School.


Articles

1 2 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