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에 지어진 2층 건물을 수직 증축하여 연구시설로 변경한 리모델링 프로젝트로, 40여 년간 건물 속에 축적된 기업의 역사와 시간의 흔적을 보존하는 동시에 첨단 연구시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다양한 유형의 연구시설들을 비교적 작은 건물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설계 초반부터 집단지성을 활용한 참여형 기획을 시도했다.
연구원들과 경영진, 그리고 설계자 간의 반복적인 면담, 회의, 워크숍 등 긴밀한 대화와 토론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원들은 서로의 조직적 상관관계를 이해하게 되었고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과정이 장기적인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으로 자연스럽게 진화되었다.
서로 다른 크기의 창문들이 겹치고 섞여 있는 듯한 외형은 내부 공간들의 용도와 성격을 반영하고, 다락방 같은 사색의 공간을 원하는 연구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건물 상부와 지붕의 형태가 결정되었다.
로비부터 다락방까지 연결되는 계단 타워는 새로 추가되는 기초공사의 바닥면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다양한 보이드 공간들과 짝을 이루어 총 6개 층을 엮는 척추의 역할을 한다.
옛 건물의 흔적들은 재활용된 벽돌과 남겨진 벽, 바닥, 기둥 등의 표면에 남아 장소와 공간 속에 담긴 기억을 보존하고, 혁신의 기반은 기록과 기억을 통한 과거와 현재의 연계라는 것을 일깨워준다.
설계: 최춘웅(서울대학교)
설계담당: 표창연,주명현(CCA)
위치: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가곡리 480
용도: 연구소,사무실
대지면적: 58,682㎡
건축면적: 변경전-669㎡/변경후-706.68㎡
연면적: 변경 전-2,007㎡/변경 후-3,551.42㎡
규모: 변경 전-지상2층,지하1층/변경 후 -지상5층,지하1층
높이: 18.85m 건폐율: 45.56%(공장 전체)
용적률: 78.19% (공장 전체)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구조
외부마감: 적벽돌,징크
내부마감: 노출콘크리트,철판,석고보드
구조설계: 동양구조, 미래에스디지
기계설계: 유영설비기술연구소
전기설계: 동남·성문이앤티
시공: 이안알앤씨
조경: 학조경
감리·협력설계: 장광엽,김상중
설계기간: 2013.3. ~ 2014.9.
시공기간: 2015.3. ~ .12.
준공: 2016.3.
건축주: 매일유업